728x90

1.스토리지(Storage)

-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ex.하드디스크)

- 스토리지 -> 서버 or 스토리지용 네트워크 구성

 

DAS(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스토리지를 빠른속도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방식

LAN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며 파일 단위로 데이터에 접속하기 때문에 OS에서 파일로 표시

-SAN(Storage Area Network): 확장이 용이하며, 빠른 속도의 서비스 제공 및 OS에서 디스크로 표시

--> NAS = S3, SAN = EBS?

 

2.데이터 백업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대비하여 다른곳에 데이터 복사 후 저장

-스냅샷: 특정 시점 원본 데이터와 동일한 복사본을 저장 해둔다(ex. VirtualMachine의 스냅샷)

S3 vs EBS

  Amazon EBS Amazon S3
패러다임 파일 시스템이 있는 블록(block) 스토리지 객체(Object) 스토리지
성능 매우빠름 빠름
중복성 하나의 가용영역 내에서, 여러 서버에 복제되어 저장됨. 3개의 가용영역에 거쳐 저장이된다.
보안 EBS 암호화 - 데이터 볼륨 및 스냅샷 암호화
인터넷 액세스 가능 여부 불가능 가능
일반적 사용 사례 디스크 드라이브 온라인 스토리지

가장 큰 차이점은 EBS는 블록 스토리지 방식, S3는 객체 스토리지 방식을 사용

3.S3(Simple Storage Services)

특징

-무한대로 저장 가능 -> 사용한 공간 만큼 비용지불

-버킷이라는 리전내에서 유일한 공간 생성

-데이터를 키-값 형식의 객체로 저장

-기본적으로 온라인, HTTP 기반 접근

https://버킷.s3.ap-northeast-2.amazonaws.com/객체/키
S3 버킷 내부의 객체 폴더 안의 키값에 해당하는 이미지 불러오기

S3스토리지 클래스

-S3표준: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위한 스토리지(ex. image나 정적 파일(css)등..)

-S3표준-IA:액세스 빈도가 낮지만 필요시 빠르게 필요할때 사용하는 스토리지 클래스(ex. 백업)

-S3 One Zone-IA: S3표준-IA와 동일한 상황에 쓰이지만 S3 표준 또는 S3 표준-IA 스토리지와 같은 가용성 및 복원력이 필요 없는 고객에게 적합(ex. 백업)

-S3 Glacier: 액세스 빈도가 낮지만 필요시 빠르게 검색할때 사용하는 스토리지 클래스, 복원하는데 IA대비 비교적 많은 시간이 걸림!

가격: 표준 > 표준IA > One Zone-IA > Glacier (Glacier은 freetierX)

 

4.AMI와 amazon marketplace

-AMI: 도커의 이미지와 비슷한 것으로 ec2 인스턴스 생성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정보를 담고있는 템플릿 저장소이며 유저들이 이미지를 만들수도 있다.

-amazon merketplace: OS뿐만 아닌 애플리케이션등 AWS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판매 및 구매할수 있는 서비스

 

참고 블로그

 

AWS - 클라우드 스토리지 S3, EBS

https://joalog.tistory.com/85?category=876790 AWS란? / AWS 기초개념 잡기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웹사이트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서버와.

joalog.tistory.com

 

728x90

'기술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dk" 누구냐, 넌?  (1) 2024.04.27
aws(2)VPC(Virtual Private Cloud)  (0) 2022.04.19
도커(4)-이미지  (0) 2022.01.19
도커(3)-도커 컴포즈  (0) 2022.01.17
도커(2)-도커 설치와 실행  (0) 2022.01.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