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이미지란?

도커에서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서버 프로그램, 소스코드 및 라이브러리, 컴파일된 실행 파일을 묶는 형태를 Image라고 한다. 도커의 실행은 프로세스 실행을 하는것이므로 이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모든 파일과 설정값을 지닌것으로, 도커의 주체 즉, 실행할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미지 파일로 설정할수 있는것들은 mysql, ubuntu, nginx등 이미 만들어져 있는 공식적인 이미지 같은경우, 도커허브(https://hub.docker.com/)에서 모두 확인가능하며 깃허브에 코드를 올리는것과 마찬가지로 개개인이 만든이미지를 업로드하고 공유할수 있다. 그리고 외적으로는 개개인이 새롭게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올릴때는 깃허브와 같은 소스공유 방법을 통해 이미지를 빌드 할수 있다.

 

2.이미지 만들기

docker build -t corin2/testimage:ver1 .

-docker build -t : 도커 이미지 생성 명령어

-corin2 : 이미지를 생성한 사람의 이름

-testimage : 이미지 이름

-:ver1 : 태그 즉, 버전으로 활용가능

-. : 빌드 컨텍스트 위치로 통상적으로 현재위치인 .을 사용하나 필요에따라 다른 디렉터리를 지정하여도 문제없다.

추가로, .dockerignore파일또한 생성가능한데 .gitignore와 같은 역할로 민감한 정보를 가리는것 외에도 빌드시에 가상환경과 같은 부분을 같이 빌드하지 않기위해서도 사용된다.

 

즉, 위 명령어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로 도커를 실행시킬수 있는것이다. 이미지는 통상적으로 Dockerfile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해 실행하는데 Dockerfile에 들어가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3.Dockerfile 명령어

FROM 기본이미지
RUN 쉘 명령어 실행
CMD 컨테이너 기본 실행 명령어
EXPOSE 오픈되는 포트 정보
ENV 환경변수 설정
ADD 파일 또는 디렉터리 추가
COPY 파일 또는 디렉터리 추가
ENTRYPOINT 컨테이너 기본 실행 명령어
VOLUME 외부 마운트 포인트 생성
WORKDIR 작업 디렉토리 설정
ARGS 빌드타임 환경변수 설정
LABEL  key - value데이터
ONBUILD 다른 빌드의 베이스로 사용될때 사용하는 명령어
USER RUN, CMD, ENTRYPOINT를 실행하는 사용자

4.활용

도커 이미지 생성같은경우는 작업 환경에서 직접 빌드하는 방식도 있지만 주로 깃허브에서 소스를 가져와 빌드하는 방법이다. 이방법같은경우, 다음 목차에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가져와 빌드하도록 해보겠다.

 

ref. 인프런 강의.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를 보고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

 

Docker -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 도커의 특징 이해

wooody92.github.io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 인프런 | 강의

도커를 1도 모르는 입문자, 초보자분들을 위한 도커 안내서 입니다. 복잡한 내용을 제외하고 도커가 왜 인기가 많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빠르게 익힐 수 있도록 집중하였습니다., 데브옵스 입문

www.inflearn.com

 

728x90

'기술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2)VPC(Virtual Private Cloud)  (0) 2022.04.19
aws(1)S3(Simple Storage Services)  (0) 2022.04.19
도커(3)-도커 컴포즈  (0) 2022.01.17
도커(2)-도커 설치와 실행  (0) 2022.01.17
도커(1)-도커란?  (1) 2022.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