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목표
GETIT 프로젝트
- 댓글 -> 대댓글 기능 구현
- 이미지 -> 다중이미지로 기능 구현
대댓글을 구현할때 뭐가 필요할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다른것없이 그저 comment 모델내부에서 comment pk를 참조할 필드하나만 있으면 될것이라 생각했다. 클라이언트와 함께 작업하며 느낀것이 첫번째가 DB의 중요성 그와 동시에 DB는 별것 없이 내가 나중에 봤을때 이렇구나 라고 저장되게만 느끼면 되게 설계해두면 된다라는것이다(물론, 생각한대로 확실하게 구현되어야한다는건 기본이며 내가봤을때라는건 개인플젝때만 해당ㅎㅎ). 두번째가 client개발자와의 대화이다. 서버개발자는 그저 서비스가 잘돌아가게 뒤에서 묵묵히 로직을 개발하면 되지만 클라이언트는 실 서비스 사용자가에게 보여질 화면과 로직을 개발하기 때문에 작업량이 상당하고 그만큼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닐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협업을 할때 서버의 입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클라이언트개발자의 요구를 최대한 맞춰주기위해 노력한다ㅎㅎ(자기자랑 타임) 암튼 대댓글은 별것없고
parent = models.ForeignKey('self', on_delete=models.CASCADE, null=True, blank=True)
comment 모델에 위 한줄이면끝이다 물론 serializer에 parent필드를 추가하는건 빼먹으면 안된다. 일반 댓글의 경우, parent필드는 null, 대댓글의 경우 대댓글단 댓글의 pk값이 parent필드의 값이 되어 클라이언트입장에서 그것에 맞춰 화면을 구성해주면 된다.
이미지필드는 그냥 참고한 블로그 첨부한다.
drf 다중 이미지 full url 삽질 기록
삽질 기록 - 다중 이미지
velog.io
항상 느끼지만 나도 스스로 열심히 살아간다 느끼는데 나보다 더뛰어난 사람들이 정말 많다ㅎ.. 열심히 해야겠다. 그리고 nest 학습도 대학교2학년때부터 친하게 지냈던 형과 공부중인데 하면할수록 느끼는것이 django, drf정말 좋다. 너무너무 좋다 django개발자 되고싶다.. 그런데 왜이리 취업시장에서 힘이없누!!!!!!!
인턴
- SQLITE - PYTHON DB 연동 테스트
- 시작 프로그램 - script.bat 구현
결론 부터 말하자면,내가왜 어제 일찍자고 오늘 일찍일어났냐? 위의 목표량을 채우지 못했다.. 오늘 리드님과 프로젝트 회의하는 날인데 빠르게 해야겠다. 하하.. 핑계를 대자면 기존에 접속 안되던 서버를 인프라팀에서 해결해줘서 해야할 작업이 갑자기 생겨버렸고 막상 서버 접속하고 나니 오류가 한두가지가 아니게 많이 떳다.... 서버팀, 보안팀, QA팀에 문의를 수십번드리고 리드님과 사수님에게 바보같은 질문만 드리다 하루 8시간이 슥 사라졌다. 이건내일 TIL쓸때 완성되있을꺼다..?아마도..
오늘의 목표
GETIT 프로젝트
- 기존 8000포트 테스트서버 -> nginx - gunicorn - django - docker 활용하여 80번포트 배포
인턴
- SQLITE - PYTHON DB 연동 테스트
- 시작 프로그램 - script.bat 구현
getit프로젝트 목표량의 경우 지난번에 실패한 작업이다. 통신에는 성공했지만 무엇이 문제인지 jwt토큰을 도메인으로 set_cookie로 전달해주는데 이부분이 먹통이다, stackoverflow에서 검색하며 이작업저작업해봤지만 문제 해결이 안되서 일단 임시방편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한지 2달이 되어가는 지금까지 python manage.py runserver 0:8000으로 백그라운드에서 빌드하여 배포중이다. 오늘 꼭 해결해봐야겠다.
그러고보니 프로젝트할때 2주간 jwt를 통한 소셜로그인에 대해서 drf 레퍼런스가 없어서 정말 고생했는데 한번 공유할겸 이번주에 작성해보려한다. 이거 조회수 10000나오는거 아니야?
'개발 life > 셀프 부트캠프(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4일차-2021.10.28(코린이 인턴의 흔한 실수..., django channels, socket통신, pyvmomi) (0) | 2021.10.28 |
---|---|
TIL 13일차-2021.10.23(web socket, vmware esxi,pyVmomi) (0) | 2021.10.23 |
TIL 11일차-2021.10.20(인턴110일차 TIL 유형의 변화) (0) | 2021.10.20 |
TIL 10일차-2021.10.10(인턴100일차 생활의 워라벨과 그동안의 회고록) (0) | 2021.10.10 |
TIL 9일차-2021.7.14(virtualbox 파일 옮기기_공유폴더) (0) | 202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