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950년대 운영체제


배경: 첫번째 컴퓨터라고 불리는 ENIAC이 등장

-당시 운영체제는 없었음

-애니악은 1개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도 바밨기 때문에 애초에 기능이 필요없었음

-응용프로그램이 직접 시스템 자원을 제어함

 

1960년대 초반


배경: 50년대보다 더나아가 여러개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길 원함 --> 배치처리 시스템의 출현

배치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이란?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등록시켜놓으면, 시스템상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이를 기반으로 운영체제가 출현함

ex. 프로그램1: 12시간, 프로그램2: 30분의 실행시간이 소요되는 두가지 프로그램이 있을때

배치 처리 시스템은 순차적으로 프로그램1 -> 프로그램2를 실행시킨다.

 

 

1960년대 후반


배경: 여러명의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길 원함 --> 시분할시스템/ 멀티태스킹 출현

시분할시스템(Time Sharing System)이란?

-응용 프로그램이 CPU를 사용하는 시간을 잘개 쪼개서, 여러개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기법

-다중 사용자를 지원할때 중요한것은 응답시간을 줄이는것인데, 때문에 시분할시스템이 출현한것

 

멀티태스킹(Multi Tasking)이란?

-단일 CPU에서 여러 응용 프로그램의 병렬 실행을 가능케 하는 시스템 (ex. flipbook)

-보통, 시분할 시스템 = 멀티태스킹이라 생각할정도로 유사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됨

+)멀티 프로그래밍: 시간을 짧게 쓰는것은 유사하지만 초점은 최대한 CPU를 시간대비 많이 활용하도록 하는 시스템 --> 배치 처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할수 있음

+)위와 같은 개념이 등장한것이지 이때까지 아직 기술로 구현은 안된상태임

 

ex. 프로그램1: 1시간(이중 30분은 CPU사용X 저장매체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사용), 프로그램2: 30분의 실행시간이 소요되는 두가지 프로그램이 있을때

배치 파일 시스템의경우 프로그램2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1의 1시간을 모두 지나고 실행하게됨

하지만 시분할 시스템은 프로그램1이 처음10분 실행후 30분동안 저장매체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사용될때 CPU사용을 안하므로 10분이 지나고 바로 실행할수 있음

+) 멀티프로그래밍의 개념이 적용되어 시간을 더욱 잘개 쪼갤경우 프로그램1이 자리를 비웠을때 프로그램3이 있다면 프로그램2,3이 서로 잘개 쪼개진 시간동안 프로그램을 마치 동시에 실행하는 것처럼 번갈아가며 CPU를 사용하게 됨.

 

정리


1950년대: ENIAC컴퓨터의 등장, 운영체제 없음 -> 응용프로그램이 시스템 자원을 직접 관리하기때문

1960년대 초반: 배치처리 시스템의 출현 - 여러 응용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시스템

1960년대 후반: 시분할시스템/ 멀티태스킹의 출현 - 마치 동시에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처러 CPU 사용시간을 잘개 쪼개어 여러 응용프로그램을 번갈아 가며 실행시키는것 -> 다중사용자 지원에 적합

 

배치 처리시스템의 단점

-컴퓨터 응답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다.(앞단에 실행시간이 많이 필요로 하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경우)

-실행시간도 오래걸릴수 있다.(CPU가 필요없음에도 응용프로그램이 CPU를 점유할수 있기 때문)

--> 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것이 시분할시스템/멀티태스킹(멀티프로그래밍)이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