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젝트 목차에서 가장 먼저 설명해야 할것은 일단 개발자들이 협업때 소통하는 방식이다.

필자의 경우, 가장 중요한 팀원들을 캠퍼스픽 이라는 대학생 스터디 모집란에서 모집하였다.

 

캠퍼스픽

대학생 커뮤니티, 동아리, 공모전, 대외활동 등 즐겁고 유익한 정보가 한 곳에!

www.campuspick.com

가장 쉬운 방법은 it연합동아리에 들어가는 것인데 일단 어느정도 실력이 갖춰진 사람들을 모집하기 때문에 처음 프로젝트 팀원을 모집할때는 캠퍼스픽을 통해 구하는것도 나쁘지 않아보인다.

처음 모집할때의 글이였다.

처음 협업을 하다보니 어떻게 무엇부터 해야할지 몰랐지만 일단 크게 3가지의 협업 방식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번째는 깃허브다. 

위와 같이 한명이 레포지토리를 만들어 각각의 팀원들을 초대하고 그곳에 서버, 디자인, 웹, 안드로이드의 디렉터리를 생성후 각자의 브랜치를 만들어 서로 만나지 않을때는 그주차에 해당하는 작업량을 수행할때마다 자신의 브랜치에 push를하고 정기적으로 정해진 날짜에 맞춰 서로의 코드를 확인하고 문제가 없다고 생각될때 master브랜치에서 merge를 하는 식으로 협업을 진행하였다.

 

두번째 방식부터는 협업을 좀더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이므로 깃허브가 필수 였다면 이제부터는 선택의 분야이다.

두번째는 노션이다.

 

Notion – 메모, 작업, 위키,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올인원 워크스페이스.

매일 쓰는 여러 업무용 앱을 하나로 합친 새로운 도구. 당신과 당신의 팀을 위한 올인원 워크스페이스예요.

www.notion.so

노션은 개발자들의 협업 뿐만아니라 스타트업들도 각자 회사의 정보나 채용 공고를 보여주는데 많이 사용이 된다.

필자의 경우 크게 팀작업 공간, 개인작업 공간, 일정으로 나눈후 팀작업 공간에는 위와 같이 ToDo라는 페이지에서는 현재 프로젝트에서 진행해야할 업무를 나열하고 진행전, 진행중, 작업완료로 나눠 전체적인 진행 상태를 나타냈고

개인 작업공간에서는 팀원 각자의 진행률 페이지를 만들어 각자 작업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하였다. 노션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된다. 

 

세번째는 슬랙이다.

 

새 HQ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Slack은 여러분의 팀과 소통할 새로운 방법입니다. 이메일보다 빠르고, 더 조직적이며, 훨씬 안전합니다.

slack.com

사실 필자의 경우, 대부분의 소통을 카카오톡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아직까진 제대로 활용을 하지는 않고 있지만 주된 기능중하나가 코드를 가져올수 있어 피드백을 하는데 도움이 되고, 무엇보다 노션에서 변경사항이 있다면 슬랙에 즉각적으로 알림이 가기때문에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된다. 이외에도 슬랙이 가지는 이점들이 많을 텐데 이건 조금씩 이용을 해보며 알아가봐야겠다. 

 

후기

사실 프로젝트 팀원을 필자가 처음 모집하였고 팀장이라는 직책을 가지고 있다보니 팀원들보다 협업의 방식에 대해 좀더 공부가 되어있어야 한다고 생각되서 알아본건데 무조건 위의 세가지 방식을 사용해라! 라기보다는 팀원들과 소통을 하며 각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식을 적용시키는것이 가장 중요한것이라 생각된다. 위의 방식은 도구일뿐 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실제로 일어나는 소통에 집중을 하여야 한다는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