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큐(Queue)
1.구조
- 가장먼저 넣은 데이터를 가장먼저 꺼낼수 있는 구조
- 음식점에서 가장먼저 줄을 선 사람이 가장 먼저 음식점에 입장하는것
- FIFO(First In, First Out)또는 LILO(Last-In, Last-Out)방식으로 스택과 꺼내는 순서가 반대
2.알아둘 용어
- FIFO
- Enqueue: 큐에 데이터를 넣는 용어
- Dequeue: 큐에서 데이터를 꺼내는 용어
3.파이썬 queue 라이브러리 활용해서 큐 자료 구조 사용하기
#일반적인 큐 사용(fifo)
import queue
data_queue = queue.Queue()
data_queue.put("func")
data_queue.put(1)
data_queue.get() # func 출력
data_queue.get() # 1 출력
#들어간 순서대로 출력됨 FIFO
#LifoQueue(Lifo(Lastin,Firstout))
import queue
data_queue = queue.LifoQueue()
data_queue.put(123)
data_queue.put(456)
data_queue.get() # 456출력
data_queue.get() # 123출력
#나중에 들어간 456출력 LIFO
#PriorityQueue(우선순위에 따라추출중요!!)
import queue
data_queue = queue.PriorityQueue()
data_queue.put((10,"korea"))
data_queue.put((5,32))
data_queue.put((7,"china"))
data_queue.get() # 32출력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32가 출력됨
4.직접 dequeue, inqueue구현해보기
#dequeue, inqueue 구현
queue_list = list()
def enqueue(data):
queue_list.append(data)
def dequeue():
data = queue_list[0]
del queue_list[0]
return data
스택(stack)
1.구조
- 스택은 LIFO(Last In, First Out) 또는 FILO(First In, Last Out) 데이터관리 방식을 따름
- LIFO: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 정책
- FILO: 처음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마지막에 추출하는 데이터 관리 정책
- 대표적인 스택의 활용
- 컴퓨터 내부의 프로세스 구조의 함수 동작 방식
-
def recursive(data): if data < 0: print("ended") else: print(data) recursive(data-1) print('returned',data) recursive(3) #결과 # 3 # 2 # 1 # 0 # ended # returned 0 # returned 1 # returned 2 # returned 3 # recursive(data-1)의 종결과 같은 ended가 출력된이후 # 쌓여있는 returned 출력문을 가장 늦게 들어왔지만 0부터 출력해냄
2.알아둘 용어
- push():데이터를 스택에 넣기
- pop():데이터를 스택에서 꺼내기
3.스택의 장단점
- 장점
- 구조가 단순해서 구현이 쉽다.
- 데이터 저장/읽기 속도가 빠르다.
- 단점
- 데이터 최대 갯수를 미리 정해야 한다.(파이썬의 경우 재귀함수는 1000번까지 호출가능)
- 저장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미리 최대 개수만큼 저장 공간을 확보해야함)
- 스택은 단순하고 빠른 성능을 위해 사용되므로, 보통 배열 구조를 활용해서 구현하는것이 일반적임.
4. 파이선 리스트 기능에서 제공하는 메서드 스택
- append(push), pop
-
data_stack = list() data_stack.append(1) data_stack.append(2) # [1,2] data_stack.pop() # 2 출력 [1]
5.직접 push, pop 구현해보기
stack_list =list()
def push(data):
stack_list.append(data)
def pop():
data = stack_list[-1]
del stack_list[-1]
return data
728x90
'기술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번외)- 알고리즘 복잡도 표현방법(시간복잡도) (0) | 2022.01.21 |
---|---|
자료구조(2)-링크드리스트(LinkedList) (0) | 2022.01.21 |
코딩테스트(0)- 자료구조/알고리즘이란? (0) | 2022.01.19 |
코딩테스트 준비 (0) | 2022.01.19 |
그리디(2):큰 수의 법칙 (0) | 2021.05.22 |